/* 문제 */ 크기가 N×M인 지도가 존재한다. 지도의 오른쪽은 동쪽, 위쪽은 북쪽이다. 이 지도의 위에 주사위가 하나 놓여져 있으며, 주사위의 전개도는 아래와 같다. 지도의 좌표는 (r, c)로 나타내며, r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주사위는 지도 위에 윗 면이 1이고, 동쪽을 바라보는 방향이 3인 상태로 놓여져 있으며, 놓여져 있는 곳의 좌표는 (x, y) 이다. 가장 처음에 주사위에는 모든 면에 0이 적혀져 있다. 지도의 각 칸에는 정수가 하나씩 쓰여져 있다. 주사위를 굴렸을 때, 이동한 칸에 쓰여 있는 수가 0이면, 주사위의 바닥면에 쓰여 있는 수가 칸에 복사된다. 0이 아닌 경우에는 칸에 쓰여 있는 수가 주사위의 바닥면으로 복사되며, 칸에 쓰여 있는 수는 0이 된다. 주사위를 놓은 곳의 좌표와 이동시키는 명령이 주어졌을 때, 주사위가 이동했을 때 마다 상단에 쓰여 있는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주사위는 지도의 바깥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만약 바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을 무시해야 하며, 출력도 하면 안 된다.
구현 문제다.
처음에는 생각을 잘못해서 각 면의 상하좌우를 따로 저장한 후 이동 방향에 따라 다음에 밑에 올 면을 찾으려고 했었다.
# 틀린 코드
n, m, x, y, k = map(int, input().split())
my_map = []
cube = [0,0,0,0,0,0] # i-1번째 자리에 써있는 수
next_num = [[3,4,2,5], [3,4,6,1], [6,1,2,5], [1,6,2,5], [3,4,1,6], [3,4,5,2]] # i-1면이 바닥에 있을 때 우좌상하 이동 시 아래로 오는 면
now = 6 # 현재 밑면
for i in range(n):
my_map.append(list(map(int, input().split())))
move = list(map(int, input().split()))
for i in move:
updated = False
if i == 1: # 오른쪽
if y + 1 < m:
updated = True
y += 1 # 위치 이동
now = next_num[now-1][0] # 밑면 업데이트
elif i == 2: # 왼쪽
if y - 1 >= 0:
updated = True
y -= 1 # 위치 이동
now = next_num[now-1][1] # 밑면 업데이트
elif i == 3: # 위
if x - 1 >= 0:
updated = True
x -= 1 # 위치 이동
now = next_num[now-1][2] # 밑면 업데이트
else: # 아래
if x + 1 < n:
updated = True
x += 1 # 위치 이동
now = next_num[now-1][3] # 밑면 업데이트
if updated:
if my_map[x][y] == 0:
my_map[x][y] = cube[now-1]
else:
cube[now-1] = my_map[x][y]
my_map[x][y] = 0
print(cube[6-now]) # 윗면 출력
그러나 주사위가 상하좌우로 움직이면서 각 면의 상하좌우도 바뀐다는 것을 파악하지 못한 틀린 방법이었다.
그래서 현재 밑면만 따로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할 때마다 모든 면을 업데이트하기로 했다.
# 정답 코드
n, m, x, y, k = map(int, input().split())
my_map = [] # 지도 이차원 리스트
for i in range(n):
my_map.append(list(map(int, input().split())))
move = list(map(int, input().split())) # 이동 명령
cube = [0,0,0,0,0,0] # 각 면에 써있는 수
# -> 윗면, 아래쪽, 오른쪽, 왼쪽, 위쪽, 밑면 순서
for i in move:
updated = False
if i == 1: # 오른쪽
if y + 1 < m:
updated = True
y += 1
cube[0], cube[2], cube[3], cube[5] = cube[2], cube[5], cube[0], cube[3]
elif i == 2: # 왼쪽
if y - 1 >= 0:
updated = True
y -= 1
cube[0], cube[2], cube[3], cube[5] = cube[3], cube[0], cube[5], cube[2]
elif i == 3: # 위
if x - 1 >= 0:
updated = True
x -= 1
cube[0], cube[1], cube[4], cube[5] = cube[4], cube[0], cube[5], cube[1]
else: # 아래
if x + 1 < n:
updated = True
x += 1
cube[0], cube[1], cube[4], cube[5] = cube[1], cube[5], cube[0], cube[4]
if updated:
if my_map[x][y] == 0:
my_map[x][y] = cube[5]
else:
cube[5] = my_map[x][y]
my_map[x][y] = 0
print(cube[0]) # 윗면 출력
주사위가 구를 때마다 변경되는 위치를 파악해 각 면을 업데이트 한다.
예를 들어 주사위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윗면 -> 오른쪽 아래쪽 그대로 오른쪽 -> 밑면 왼쪽 -> 윗면 위쪽 그대로 밑면 -> 왼쪽
각 면의 위치는 위와 같이 변한다(왼쪽, 오른쪽, 위쪽, 아래쪽은 밑면 기준). cube 리스트의 인덱스는 밑면 기준의 면 위치를 의미하므로 해당하는 인덱스의 값들을 서로 바꿔주면 된다.
주사위가 지도를 벗어나는 경우 그 명령은 무시해야 하므로 x,y(주사위의 위치)를 n,m(지도의 가로 세로 길이)와 비교해 이동할 수 있는 경우에만 updated를 True로 변경한다. 주사위 위치 변경과 면의 위치 업데이트가 끝난 후 지도의 값과 주사위의 값을 업데이트한다. 마지막으로, 특정 시점에서 주사위 윗면의 값은 항상 cube[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를 출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