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어린 왕자는 소혹성 B-664에서 자신이 사랑하는 한 송이 장미를 위해 살아간다. 어느 날 장미가 위험에 빠지게 된 것을 알게 된 어린 왕자는, 장미를 구하기 위해 은하수를 따라 긴 여행을 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어린 왕자의 우주선은 그렇게 좋지 않아서 행성계 간의 이동을 최대한 피해서 여행해야 한다. 아래의 그림은 어린 왕자가 펼쳐본 은하수 지도의 일부이다.
빨간 실선은 어린 왕자가 출발점에서 도착점까지 도달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행성계 진입/이탈 횟수를 최소화하는 경로이며, 원은 행성계의 경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로는 여러 개 존재할 수 있지만 적어도 3번의 행성계 진입/이탈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은하수 지도, 출발점, 도착점이 주어졌을 때 어린 왕자에게 필요한 최소의 행성계 진입/이탈 횟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자. 행성계의 경계가 맞닿거나 서로 교차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출발점이나 도착점이 행성계 경계에 걸쳐진 경우 역시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는다.
내 코드
t = int(input())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result = []
for i in range(t):
xs, ys, xe, ye = list(map(int, input().split()))
n = int(input()) #행성계의 개수
count = 0
for j in range(n):
xc, yc, r = list(map(int, input().split()))
difStart = (xs - xc) ** 2 + (ys - yc) ** 2
difEnd = (xe - xc) ** 2 + (ye - yc) ** 2
if (difStart < r ** 2 or difEnd < r ** 2):
count += 1
if (difStart < r ** 2 and difEnd < r ** 2):
count -= 1
result.append(count)
for i in result:
print(i)
과정
이 문제의 핵심은 어린왕자가 언제 행성계를 진입하거나 이탈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문제에서 행성계의 경계가 맞닿거나 서로 교차하는 경우는 없으며 출발점이나 도착점이 행성계 경계에 걸쳐진 경우도 없다고 했기 때문에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은 출발점과 도착점이 어떤 행성계 내에 위치하는지다. 행성계들 사이에 틈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요리조리 피해서 이동할 수 있지만, 이미 어떤 행성계 안에 있는 경우 해당 행성계를 이탈해야만 도착점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착점이 행성계에 둘러싸여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또 하나의 포인트는 출발점과 도착점이 같은 행성계 안에 있는 경우 진입/이탈 횟수가 늘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출발점과 중점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보다 짧은 경우) or (도착점과 중점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보다 짧은 경우)에는 count를 1 증가시키고, 만약 (출발점과 중점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보다 짧은 경우) and (도착점과 중점 사이의 거리가 반지름보다 짧은 경우)에는 증가되지 않았어야 할 count가 앞에서 증가했으므로 count를 다시 1 감소시켜 준다.
출발점이나 도착점이 어떤 행성계 안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학교 다닐 때 배웠던 원과 점 사이의 위치관계를 생각하면 된다. 어떤 점이 원 안에 있는 경우, 그 점과 원의 중점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보다 작다. 정석대로라면 math 모듈을 import해 sqrt()를 썼어야 하지만 이 문제에서 필요한 것은 단순 크기 비교이기 때문에 대신 반지름을 제곱하여 비교했다.
의외로 시간을 쓰는 곳은 입력을 받는 부분이었다.
보다시피 입력이 꽤나 길고 복잡하다. 처음에는 입력 받은 문자열에 인덱스로 하나하나 접근해 값을 집어넣다가 바보같은 짓이라는걸 깨닫고 map()과 split()을 활용했다.
...
언제쯤 조건문의 조건을 보자마자 딱딱 생각해 낼 수 있을까?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로 백준 문제 풀기(Node.js 사용) (0) | 2022.06.09 |
---|---|
[1018] 체스판 다시 칠하기 - Python (0) | 2022.01.26 |
[9461] 파도반 수열 - Python (0) | 2022.01.24 |
[11729] 하노이 탑 - Python (2) | 2022.01.23 |
[1065] 한수 - Python (0) | 2022.01.21 |